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

[디지털과 사회저 거리 두기] 챕터 8. 디지털 중독을 극복하는 법 이전 챕터들을 통해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우리의 생각과 감정 행동의 변화들, 그리고 디지털 세계로부터 단절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민했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디지털 세계와 멀어질 수 있는 실천들과 실용적인 아이디어들을 나눌까 합니다. 이 실천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시청이 필요 없는 많은 활동들에 대한 목록을 정리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자신에게 맞고, 큰 각오가 필요하지 않은 활동이 최선의 선택이 될 겁니다. 아래의 방법들도 선택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아날로그 방 만들기 집을 소유하고 있다면 전자기기가 하나도 없는 아날로그 방을 만들어보세요. 남는 방을 정리하고 전자기기를 모두 치워서 독서나 명상을 위한 공간으로 만드는 겁니다. 원룸에 살고 있다면 침대 주위에 전자기기를 두지.. 더보기
[디지털과 사회적 거리 두기] 챕터 3. 디지털 기술이 마음에 끼치는 영향 챕터 1과 2를 통해 디지털 기술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디지털 세계는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칩니다. FOMO처럼 심리적 문제를 설명하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할 정도죠. FOMO는 Fear Of Missing Out의 약자입니다. 지금은 SNS를 통해 개인들이 사생활을 공공연하게 공개하는 시대입니다. 그 게시물들은 즐겁거나 행복해 보이는 모습들이 대부분이죠. 하지만 그걸 보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가난하거나 불행한 자신의 일상 때문에 박탈감이나 소외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유령 진동 증후군이란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는 전화가 오지 않는 데도 벨소리나 진동이 울리는 듯이 느끼는 증상입니다. 디지털 기술이 우리 마음에 일으키는 이러한 소외감과 박탈감으로 인한 .. 더보기
[디지털과 사회적 거리 두기] 챕터 2. 꿀잠 자는 법 스크린 타임이 늘어나면 몸에선 수면을 조절하는 중요한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줄어들어 수면 장애를 일으킵니다. 멜라토닌 부족으로 인한 수면 장애가 한두 번에 그친다면 큰 문제는 아니겠지만, 오래 지속된다면 기분 장애, 비만, 우울증 등으로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수면 장애를 극복하고, 꿀잠을 잘 수 있는 팁과 루틴은 무엇일까요. 수면 스케줄 만들기 일상에 특정한 루틴을 만들면 루틴이 몸을 속여 수면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먼저 자신을 관찰합니다. 하루의 피로가 몰려오는 시간이 언제인지 살피는 겁니다. 그 시간대를 발견하면 반드시 그 전에 잠자리에 듭니다. 그 시간 이전에 하루 일과를 완전히 마치고 정리하는 루틴을 만들어보세요. 루틴을 시작되는 알람을 설정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겁니다. 이 루틴에.. 더보기
[디지털과 사회적 거리 두기] 챕터 1. 디지털 기술이 몸에 끼치는 영향 수십 년 동안의 비약적인 기술 발전은 우리 삶을 극적으로 변화시켜 왔습니다. 이 변화에는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동시에 존재합니다. 기술 발달로 인한 의료계와 헬스케어 업계의 발전은 특히 경이롭니다. 여러 불치병을 극복해왔고, 신체나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던 사람으로 기술의 도움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기술의 도움은 인간의 한계를 낮추고, 기계에 점점 의존하게 만듭니다. 디지털 기술의 시작 최초의 통신 기술인 전화는 1870년 대에 특허를 받았습니다. 그 이후 유선전화가 보급되었고 약 50년 전인 1973년에 무선전화기가 대량생산되기에 이릅니다. 지금의 놀라운 기술 수준을 생각하면 의외로 짧은 역사가 아닐 수 없습니다. 휴대전화의 생산 이후 많은 것들이 변했습니다. 무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