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이 꼭 한 가지 마인드셋을 가지는 건 아니다. 삶의 많은 영역에서 다른 마인드셋을 적용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 챕터에서는 결핍 마인드셋에 갇힌 사람들이 자주 보이는 행동들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마인드셋을 식별할 수 있다. 마인드셋 자가 점검은 풍요 마인드셋으로 넘어가기 위한 첫 단계이다.
부재에 집착한다
결핍 마인드셋에 갇힌 사람들은 의문사 Why를 입에 달고 산다. 나는 왜 가난하게 태어났을까? 나는 왜 이렇게 생겼을까? 나는 왜 무능력할까? 이처럼 답할 수 없는 질문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자신의 에너지를 상실과 부재에 쏟는 것이다. 반면 풍요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의문사 What과 How를 편애한다. 내가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할 수 있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고민한다.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정확히 찾아내고, 그걸 이루기 위해 도전한다. 당신은 어떤 의문사를 편애하는가? 만약 습관처럼 Why로 시작되는 질문을 하고 있다면 그것을 What과 How로 바꿔보자. 그러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 선명해질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들도 분명해질 것이다. 이때 우리는 내면의 풍경을 세밀하게 그릴 수 있다. Why는 설명될 수 없다. 우리가 왜 태어났는지, 왜 흙수저로 태어났는지, 왜 남들보다 못 생기거나 성격이 안 좋은지 등등의 질문에는 아무도 답해줄 수 없다. 우리는 자신의 질문에도 답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유를 알 수 없는 부재에 집착하지 말고 지금 곁에 있는 사람들, 노력으로 얻을 수 있는 목표 들에 집중하자.
도움에 인색하다
사람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이다. 성인이 되면 자립하여 스스로 살아가는 듯하지만 이 사회 안에서 모두는 유·무형의 도움을 직·간접적으로 주고 받는다. 이러한 구조 안에서 타인의 선의와 도움을 잘 받는 것은 주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누군가 당신에게 도움의 손길을 건넬 때, 선뜻 받지 못하거나 거절한다면, 당신은 이 세계에 이렇게 말하는 것과 같다. "나는 타인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자격이 없다." 도움이 절실한 상황에서 괜한 체면이나 자존심, 혹은 열등감 때문에 도움을 주저하는 것도 똑같이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세상의 일부다. 타인도 그렇다. 나와 타인이 모여 세상을 이룬다. 그러므로 타인의 도움은 곧 세상의 도움이다. 타인의 작은 도움을 거절할 때, 우리는 세상 전체의 도움을 거부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우리 삶은 더욱 고립되고 빈곤해질 것이다. 이 악순환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필요할 때 도움을 구하는 것이다. "세상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했다.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스스로를 돕는 적극적인 행동이다.
칭찬에 서투르다
칭찬 받는 것을 어색해하고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타인의 칭찬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를 모르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의 내면에는 나는 이런 칭찬을 받을 만한 사람이 아니야, 그럴 자격이 없는데, 따위의 열등감이나 자기 비하 심리가 깔려 있다. 또는 당신이 내게 그런 칭찬을 할 만한 위치인가? 하는, 상대를 얕잡아보는 심리일 수도 있다. 그게 무엇이든 부정적인 마인드셋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에겐 누구나 인정 욕구가 있다. 타인에게 인정받고 칭찬을 받으면 기쁘고 좋은 감정을 느낀다. 그런데 이 감정에 솔직하지 못하고 불편한 기색을 보이면, 상대도 당신을 불편해한다. 그렇게 사람들과의 관계는 조금씩 어색해지고 협소해진다. 부정적인 마인드셋이 삶을 더욱 빈곤하게 만드는 것이다. 당신은 타인의 칭찬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혹시 그렇지 않다며, 정색하며 손을 내젓고 있진 않은가. 칭찬은 선물과 같다. 선물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다면 상대는 상처 받을 것이다. 그러니 칭찬에 마음을 열자. 누군가 당신을 칭찬하면 꼭 감사를 표하자.
과거에 집착한다
과거는 돌이킬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과거에 연연하고 집착한다. 지난 일을 후회하느라 현재의 소중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해서, 보다 나은 내일을 위해 지금 해야 할 일을 하지 못한다. 그래서 오늘은 어제처럼 무력하고 우울하다. 이처럼 멜랑꼴리한 오늘의 연속을 끊으려면 과감해져야 한다. 지금 바로 이 순간 자신의 모든 과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그리고 더 나은 오늘을 만들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 충만한 삶을 살고 싶다면 질문하라. 지금 당장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어떤 선택을 해야 더 풍요로운 삶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나? 풍요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내일의 풍요를 생각하고, 그것을 위해 행동하며, 행복한 오늘을 살아간다.
정리
결핍 마인셋을 가진 사람은
1. 부재와 상실에 집착한다
2. 도움에 인색하다
3. 칭찬에 서투르다
4. 과거에 집착한다
'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추석 연휴, 추석 유례와 의미 (0) | 2020.08.05 |
---|---|
[풍요 마인드셋을 셋팅하라] 챕터 4. 나의 마인드셋은 무엇일까? 2/2 (feat. YLOL 욜로) (0) | 2020.08.05 |
[풍요 마인드셋을 셋팅하라] 챕터 3. 마인드셋에 관한 연구들 (0) | 2020.08.03 |
[풍요 마인드셋을 셋팅하라] 챕터 2. 마인드셋을 바꿔야 하는 이유 (0) | 2020.08.02 |
[풍요 마인드셋을 셋팅하라] 챕터 1. 마인드셋 뜻 (0) | 2020.08.01 |